간빙기 뜻과 언제올까, 빙하기 후빙기 대빙기 의미, 지구온난화와 해수면 상승
지난해에는 봄부터 너무나 무더웠고 여름도 길게 느껴졌는데, 올해는 4월에도 눈이 내리고 5월엔 일교차가 크고 비가 자주 오는 등 변덕스러운 날씨입니다. 이런 지구의 기후변화는 인류 문명과 생태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데, 오랜 지구 역사 속 반복되어 온 빙하기와 간빙기, 오늘날 다양한 기후 변화 양상까지 미래 전망을 위해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요. 간빙기 뜻과 정의, 도래 시기, 빙하기 후빙기 대빙기의 차이, 지구온난화가 해수면에 미치는 영향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간빙기 뜻과 의미에 대해
간빙기는 장기간 지속된 빙하기(방하가 전 세계적으로 크게 확장되는 시기) 사이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시기를 말합니다.
빙하기 동안 북반구와 남반구 고위도 지역에 빙상이 발전하고, 중위도까지 빙하가 내려오는데, 간빙기에는 기온이 상승하여 빙하가 크게 축소되고, 생활 현경이 훨씬 온화해지게 됩니다.
즉, 간빙기는 지구가 빙하기에 들어갔다가 추위가 풀려 일시적으로 따뜻해지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2.빙하기, 후빙기, 대빙기 의미와 차이
간빙기 말고도 다른 용어들이 있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빙하기(氷河期, Ice Age)
지구의 기온이 수만에서 수백만 년 동안 장기적으로 내려가 빙하가 넓게 확장하는 시기입니다. 빙하는 남/북반구의 고위도, 그리고 중위도까지 내려온 적도 있다고 합니다.
💠빙기(氷期, Glacial period)
빙하기 중에서도 특히 빙하가 최대한 확장한 더 극심한 추위의 시기인데요. 빙하기 내부에서 기온이 가장 낮은 시기입니다.
💠간빙기(間氷期, Interglacial period)
빙기와 빙기 사이. 상대적으로 따뜻한 시기이며, 이 때 빙하가 북극,남극 등 높은 위도로 후퇴하고, 해수면이 상승하며 생태계가 다양해지기도 합니다.
💠후빙기(後氷期, Holocene, Postglacial age)
마지막 빙하기 이후의 시기를 말하며, 빙하기 크게 후퇴하고 오늘날처럼 비교적 온화한 기후가 지속되는 시기입니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가 바로 후빙기라고 합니다.
💠대빙기(大氷期, Great Ice Age)
장기간에 걸쳐 여러 빙기와 간빙기가 반복되는 전체 빙하기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신생대 제4기의 빙하기가 이에 속합니다.
용어 | 의미 | 특징 |
---|---|---|
빙하기 | 장기간 지구가 한랭해지며 빙하가 크게 확장된 시기 | 여러 빙기, 간빙기로 구성 |
빙기 | 빙하기 중 특히 추운 시기 | 빙하 최대 학장,기온 최저 |
간빙기 | 빙기 사이의 비교적 따뜻한 시기 | 빙하 후퇴,해수면 상승 |
후빙기 | 마지막 빙기 이후 빙하가 후퇴한 현재의 따뜻한 시기 | 농경,문명 발달, 해수면 상승 |
대빙기 | 여러 번의 빙기,간빙기가 반복된 장기간의 빙하기 전체 | 수백만 년 주기로 반복 |
3.간빙기 도래 시기는?
현재 우리는 약 1만~1만2천 년 전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고 시작된 간빙기, 즉 후빙기에 살고 있다고 합니다.
일부 학자들은 현재의 간빙기가 얼마나 지속될지 여러 가설을 내놓고 있는데, 자연적인 조건만 따진다면 약 5만 년 정도 더 계속될 것이라는 연구도 있습니다.
지구의 빙하기-간빙기 주기는 지구 궤도 변화(밀란코비치 주기), 태양 활동,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최근 몇 백 년간 인간의 산업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지구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미래의 자연주기에 변수가 더해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할 부분입니다.
최근 어떤 연구에 따르면,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이 없었다면 다음 빙하기가 오는 데 5만 년 이상 걸렸겠지만, 현재의 온실효과로 인해 간빙기가 더 길어질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라고 합니다.
4.지구온난화와 해수면 상승 영향 등
지구온난화는 인간의 산업 활동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주로 이산화탄소로 인해 지구 평균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온실가스 농도가 높아지면 대기 중 열이 우주로 방출되지 못하고 지구에 머물러 기온을 높이는 것인데요.
이로 인해 전 세계 빙하가 빠른 속도로 녹고 있고, 해수면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입니다.
마지막 빙하기 이후 간빙기 동안 약 90~120m의 해수면이 상승하였고, 최근 수십 년 간 빙하 감소, 열팽창으로 인해 해수면 상승 속도는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은 해안 지역의 침수, 생태계 변화, 식수원 염해, 경제적 피해 등 다양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북극과 남극의 해빙이 빨라지면 이러한 현상은 더 심해지겠죠.
이렇듯 지구온난화가 계속된다면, 결국 자연적인 빙하기-간빙기 사이클이 무너지면서, 해수면 상승이나 기상이변 같은 새로운 기후 이상 현상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5.마무리하며
빙하기와 간빙기는 지구의 자연스러운 기후변동이지만, 이렇게 현대 사회에서의 다양한 산업 활동, 인간이 일으킨 문명으로 인해 그 주기와 강도가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현재 우리가 속한 간빙기도 약 1만 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데, 지구 온난화가 지속된다면 빙하기가 훨씬 더 늦게 오거나 아예 오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와 함께 지구온난화는 해수면 상승, 기후 재난, 생태계 파괴 등 인류에게 실질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이죠.
앞으로는 과학적 이해와 함께 우리 인간도 실천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전환, 생태계 보호 등 할 수 있는 다양한 지구 살리기를 위한 노력을 해나가야 할 것입니다.